반응형
안전밸브와 파열판의 직렬설치는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를 과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적 조치입니다. 이 지침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에서 제정한 기술지침으로, 안전밸브와 파열판의 올바른 설치와 운영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아래는 D-67-2020 기술지침의 주요 내용과 적용 방법에 대한 요약입니다.
1. 적용 범위
이 지침은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이하 "용기")를 과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안전밸브와 파열판을 직렬로 설치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주요 적용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열판의 토출 측이 직접 대기로 방출되는 경우
- 파열판이 용기 노즐로부터 연결 배관지름의 8배 이내에 설치되는 경우
- 파열판의 토출면적이 인입 배관면적의 50% 이상인 경우
- 단상 흐름인 경우
- 파열판 토출 측 배관의 길이가 토출배관 지름의 5배 이내인 경우
D-67-2020 안전밸브와 파열판 직렬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Neverminded
D-67-2020 안전밸브와 파열판 직렬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1. 과압 방지 시스템의 필요성과 기본 개념화학설비, 석유화학 플랜트, 발전소, 제약공장 등 고압 가스나 액체를 다루는 산업 현장에서는 시스템 압력이 허용치를 초과하는 과압 상황이 발생할
neverminded.tistory.com
2. 주요 용어 정의
- 안전밸브(Safety Valve):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유체를 방출하고, 압력이 낮아지면 다시 닫히는 밸브.
- 파열판(Rupture Disc):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파열되어 유체를 방출하는 안전장치.
- 설정압력(Set Pressure): 안전밸브가 열리도록 설정된 압력.
- 배압(Back Pressure): 안전밸브의 토출 측에 걸리는 압력.
3. 설치 기준
- 압력지시계 설치: 파열판과 안전밸브 사이에 압력지시계, 시험용 콕크, 자동경보장치를 설치하여 파열판의 파손 또는 누출을 감지해야 합니다.
- 배압 관리: 파열판 누설로 인해 배압이 형성되면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 파열판 홀더 선택: 파열판의 형식 및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홀더를 선택해야 합니다.
4. 안전성 확보를 위한 추가 조치
- 파열판의 파열조각이 안전밸브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파열판과 안전밸브의 조합은 관련 규격(KOSHA GUIDE D-63 등)을 준수해야 합니다.
5. 유지보수 및 점검
-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파열판과 안전밸브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조치해야 합니다.
- 설치 후 초기 테스트를 통해 시스템의 안전성을 검증해야 합니다.
D-67-2020 기술지침은 화학설비의 안전성을 높이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필수적인 가이드라인입니다. 이 지침을 준수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유지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