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시간 단위는 현대의 24시간제로 나누어진 시간 개념과는 다른 독특한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시간 단위들은 일상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각 단위마다 고유한 의미와 사용법이 있습니다.
1. 한식경(寒食頃)
'한식경'은 밥을 짓고 차를 우려 마시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약 20~30분을 의미합니다. 이는 식사 준비와 관련된 시간을 가늠하기 위한 실용적인 단위로 사용되었습니다.
옛 시간 단위
한나절: 6시간 또는 하룻낮 한시진: 2시간 한식경: 30분 일각: 15분 *여삼추(如三秋): 3년 https://agibbyeongari.tistory.com/1190 [옛날 시간 단위 단어] 한식경, 시진, 일다경, 동물시간[옛날 시간 단위 단어]
ssukgenie.tistory.com
2. 시진(時辰)
'시진'은 하루를 12등분하여 각 구간에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붙인 시간 단위입니다. 각 시진은 약 2시간에 해당하며,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자시(子時): 23시 30분 - 01시 30분
- 축시(丑時): 01시 30분 - 03시 30분
- 인시(寅時): 03시 30분 - 05시 30분
- 묘시(卯時): 05시 30분 - 07시 30분
- 진시(辰時): 07시 30분 - 09시 30분
- 사시(巳時): 09시 30분 - 11시 30분
- 오시(午時): 11시 30분 - 13시 30분
- 미시(未時): 13시 30분 - 15시 30분
- 신시(申時): 15시 30분 - 17시 30분
- 유시(酉時): 17시 30분 - 19시 30분
- 술시(戌時): 19시 30분 - 21시 30분
- 해시(亥時): 21시 30분 - 23시 30분
이러한 시진 체계는 하루를 자연의 흐름에 맞게 나누어 생활의 리듬을 조절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3. 일다경(一茶頃)
'일다경'은 차를 한 잔 마실 수 있는 매우 짧은 시간을 의미하며, 보통 15분 정도를 뜻합니다. 이는 일상 생활에서 잠깐의 여유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4. 동물시간(動物時間)
'동물시간'은 하루를 24등분하여 각 구간에 동물의 이름을 붙인 시간 단위입니다. 이 체계는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자시(子時): 23시 30분 - 01시 30분
- 축시(丑時): 01시 30분 - 03시 30분
- 인시(寅時): 03시 30분 - 05시 30분
- 묘시(卯時): 05시 30분 - 07시 30분
- 진시(辰時): 07시 30분 - 09시 30분
- 사시(巳時): 09시 30분 - 11시 30분
- 오시(午時): 11시 30분 - 13시 30분
- 미시(未時): 13시 30분 - 15시 30분
- 신시(申時): 15시 30분 - 17시 30분
- 유시(酉時): 17시 30분 - 19시 30분
- 술시(戌時): 19시 30분 - 21시 30분
- 해시(亥時): 21시 30분 - 23시 30분
이러한 동물시간 체계는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시간 관념을 반영한 것입니다.
이와 같이 한국 전통의 시간 단위들은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며, 일상 생활의 리듬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현대에는 이러한 전통적인 시간 개념이 많이 사용되지 않지만, 그 의미와 유래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되돌아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