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랭질환은 추위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건강 문제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한랭질환으로는 저체온증, 동상, 동창, 침수병, 침족병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추운 환경에 장기간 노출될 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질환의 특징과 응급조치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저체온증
저체온증은 심부체온이 35℃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체온이 35℃ 미만이 되면 심장, 폐, 뇌 등 생명을 유지하는 중요한 장기의 기능이 저하되어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몸 떨림, 피로감, 착란, 어눌한 말투, 기억상실, 졸림 등이 있습니다. 유아의 경우 빨갛고 차가운 피부, 축 처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응급조치 방법:
- 체온이 35℃ 미만이거나 의식소실 시 신속히 119에 신고하여 의료기관으로 이송합니다.
- 119 구급대가 오기 전까지 또는 당장 의료기관으로 갈 수 없는 경우:
- 가능한 빨리 환자를 따뜻한 장소로 이동시킵니다.
- 젖은 옷을 벗기고 몸을 담요 등으로 감쌉니다.
- 환자가 완전히 의식이 있으면 따뜻한 음료(술 제외)와 초콜릿과 같은 단 음식을 섭취하게 합니다.
- 의식이 없는 환자는 질식 등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를 마시게 해서는 안 됩니다.
- 119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말하면서 깨어있게 합니다.
- 맥박이 없거나 숨을 쉬지 않는 것처럼 보이면 119 구급대가 오기 전까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합니다.
한파가 예보된다면 한랭질환을 조심하세요! | 카드뉴스 | 홍보자료 | 알림·자료 :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www.kdca.go.kr
2. 동상
동상은 강한 한파에 노출됨으로써 표재성 조직(피부 및 피하조직)이 동결하여 손상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코, 귀, 뺨, 턱, 손가락, 발가락 등에서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 절단이 필요할 수도 있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
- 피부색이 점차 흰색이나 누런 회색으로 변합니다.
- 피부 촉감이 비정상적으로 단단해집니다.
- 피부 감각이 저하되어 무감각해집니다.
응급조치 방법:
-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즉각적인 치료를 받을 수 없을 때는:
- 신속히 환자를 따뜻한 장소로 옮깁니다.
- 동상 부위를 따뜻한 물에 20~40분간 담급니다.
- 얼굴, 귀: 따뜻한 물수건을 대주고 자주 갈아줍니다.
- 손, 발: 손가락, 발가락 사이에 소독된 마른 거즈를 끼웁니다.
- 동상 부위를 약간 높게 합니다.
3. 동창
동창은 다습하고 가벼운 추위(0℃∼10℃)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말초의 혈류 장애로 인한 피부와 피부조직의 염증반응을 말합니다. 추위에 노출된 후 피부가 가려울 때 흔히 '동상'에 걸렸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동창'인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증상:
- 국소부위의 가려움이 있고 따뜻한 곳으로 가면 가려움이 더욱 심해집니다.
- 심한 경우 울혈, 물집, 궤양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심하지 않은 경우는 대개 별다른 치료 없이도 수 주 내에 저절로 호전됩니다.
응급조치 방법:
- 언 부위를 따뜻한 물에 담가 따뜻하게 합니다.
- 동창 부위를 살살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유도하고 긁지 않습니다.
- 동창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보습을 합니다.
4. 침수병 및 침족병
침수병과 침족병은 10℃ 이하인 물에 손이나 발이 오래 노출되어 발생하는 피부 짓무름 등의 손상입니다.
주요 증상:
- 초기에는 가렵거나 무감각하고 저린 듯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 증상이 진행되면서 해당 부위가 부어 보이며 피부는 약간 빨갛게 되거나 파란 색 혹은 검은 색을 띄게 됩니다.
- 시간이 지나면서 물집이 생기거나 조직의 괴사 혹은 피부에 궤양이 생기기도 합니다.
응급조치 방법:
- 젖은 부위를 신속하게 건조시키고 따뜻한 환경으로 옮깁니다.
-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상된 부위를 깨끗이 씻고, 필요시 의약품을 바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