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HWP)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표 안에 그림을 삽입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특히 보고서, 제안서, 설명서 등에서 표를 활용해 정보를 정리하면서 시각적 자료를 함께 배치하면 문서의 전달력이 훨씬 높아집니다. 하지만 표 안에 그림을 넣는 과정이 처음에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컴오피스 한글에서 표 안에 그림을 삽입하는 다양한 방법을 아주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셀 배경으로 그림 삽입하는 방법
이 방식은 표 셀의 배경으로 그림을 삽입하는 것으로, 셀 크기에 맞춰 그림이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단계별 설명
- 그림을 넣고 싶은 셀을 클릭합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셀 테두리/배경’을 선택합니다.
- ‘배경’ 탭에서 ‘그림’ 항목을 체크합니다.
- ‘찾아보기’ 버튼을 눌러 원하는 그림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합니다.
- 설정을 완료하면 그림이 셀 배경으로 삽입됩니다.
장점
- 셀 크기에 맞춰 자동 조정되어 깔끔하게 보입니다.
- 여러 셀에 반복 적용하기 쉬워 효율적입니다.
단점
- 그림 위치나 크기 조절이 제한적입니다.
- 텍스트와 겹칠 경우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림을 직접 삽입 후 셀에 배치하는 방법
이 방식은 그림을 문서에 삽입한 후 표 셀 안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자유로운 크기 조절과 위치 설정이 가능합니다.
단계별 설명
- 상단 메뉴에서 ‘입력’ → ‘그림’ → ‘그림’을 선택합니다.
- 원하는 그림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하면 문서에 그림이 삽입됩니다.
- 삽입된 그림을 드래그하여 적절한 크기로 조절합니다.
- 그림을 마우스로 끌어 표 셀 안으로 이동시킵니다.
- 셀 안에서 그림을 가운데 정렬하거나 여백을 조절해 배치합니다.
팁
- 그림을 복사(Ctrl+C)한 후 셀 안에서 붙여넣기(Ctrl+V)하면 자동으로 셀 안에 삽입됩니다.
- 그림이 셀 밖으로 튀어나올 경우 셀 크기를 늘리거나 그림 크기를 줄이면 해결됩니다.
[한글 2020] 표에 그림 넣는 방법
표에 그림을 삽입해야 할 때는, 표 안에 커서가 놓인 상태에서 [입력] 탭의 [그림] 아이콘을 눌러, 그림을 넣어주면 되는데요. 이렇게 그림을 넣어주면 '표 안쪽 여백'이 적용된 상태로 표에 삽입
giznote.tistory.com
표 셀마다 다른 그림 삽입하기
여러 셀에 각각 다른 그림을 삽입해야 할 경우에는 직접 삽입 방식이 더 적합합니다. 각 셀에 그림을 삽입하고 크기와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유연한 레이아웃이 가능합니다.
그림이 보이지 않을 때 해결 방법
간혹 그림을 삽입했는데 화면에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한글 설정 문제일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 상단 메뉴에서 ‘보기’ 탭을 클릭한 후 ‘그림’ 항목이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그림이 계속 보이지 않는다면 환경 설정을 초기화하거나 한글을 재시작해보세요.
한글 문서에서 표 안에 그림을 삽입하는 방법은 크게 셀 배경으로 넣는 방식과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나뉩니다. 각각의 방식은 문서의 목적과 레이아웃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그림의 크기, 정렬, 텍스트와의 조화를 고려해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보고서나 프레젠테이션 자료에서는 시각적 요소가 핵심 정보를 보완해주기 때문에, 표 안에 그림을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기술은 문서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