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건설기술인협회는 건설기술인의 전문성과 역량을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등급은 건설기술인의 경력, 학력, 자격, 교육 이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산정됩니다.
1. 건설기술인 등급 구분
건설기술인의 등급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특급: 75점 이상
- 고급: 65점 이상 ~ 75점 미만
- 중급: 55점 이상 ~ 65점 미만
- 초급: 35점 이상 ~ 55점 미만
이러한 등급은 건설기술인의 역량지수를 기준으로 산정되며, 역량지수는 자격지수, 학력지수, 경력지수, 교육지수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건설기술인의 등급 (초급, 중급, 고급, 특급) 산정방법 및 점수표
건설기술인의 등급 (초급, 중급, 고급, 특급) 산정방법 및 점수표
건설기술인의 등급 산정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건설기술인의 등급 산정 방법은 건설기술인 등급 인정 및 교육휵련 등에관한 기준에 별표 3에 나와 있습니다.1. 건설기술인 역량지수별 등급
t920.tistory.com
2. 역량지수 산정 방법
역량지수는 다음과 같이 산정됩니다:
- 자격지수 (40점 이내): 보유한 자격증에 따라 점수가 부여됩니다. 예를 들어, 기술사나 건축사는 40점, 기능사는 15점 등이 부여됩니다.
- 학력지수 (20점 이내): 학력 수준에 따라 점수가 부여됩니다. 학사 이상은 20점, 고등학교 졸업은 15점 등이 해당됩니다.
- 경력지수 (40점 이내): 건설 관련 경력에 따라 점수가 부여됩니다. 경력 연수와 역할에 따라 점수가 산정되며, 최대 40점까지 인정됩니다.
- 교육지수 (3점 이내): 건설 관련 교육 이수에 따라 점수가 부여됩니다. 교육 이수 시간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며, 최대 3점까지 인정됩니다.
3. 경력지수 산정 공식
경력지수는 다음의 공식을 통해 산정됩니다:
경력지수 = (logN / log40) × 100 × 0.4
여기서 N은 누적 보정 경력 연수를 의미하며, 경력 연수에 따라 점수가 부여됩니다.
4. 등급 산정 예시
예를 들어, 자격지수 30점, 학력지수 15점, 경력지수 35점, 교육지수 2점인 경우, 총 역량지수는 82점이 됩니다. 이 경우, 특급 등급에 해당합니다.
5. 주의사항
- 각 항목의 세부 점수는 관련 규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경력지수 산정 시, 현장 대리인, 부분 책임자 등 역할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되므로, 자신의 역할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교육지수는 교육 이수 후 3년간 인정되므로, 정기적인 교육 이수가 중요합니다.
한국건설기술인협회의 건설기술인 등급산정 제도는 건설기술인의 전문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인정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자신의 역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부분을 보완하여 등급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