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는 어떤 사실이나 지식의 일부만 알고, 그와 연결된 다른 중요한 부분은 알지 못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즉, 사물이나 사건을 전체적으로 바라보지 못하고, 단편적인 정보에만 의존하는 태도를 지적할 때 사용됩니다.
이 속담은 융통성이 부족하거나 시야가 좁아, 상황을 폭넓게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을 비판하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유래와 배경
이 표현은 오래전부터 구전되어 온 우리말 속담으로, 정확한 문헌상의 최초 기록은 확인하기 어렵지만, 조선 시대 이후 일상 언어 속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당시 사회에서는 경험과 지혜를 중시했기 때문에, 부분적인 지식만으로 판단하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로 이 속담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부분을 알면 전체를 안다’는 긍정적인 의미의 속담과는 반대로, 불완전한 이해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영어로 표현하기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영어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 Know one thing but not the other: 직역에 가까운 표현
- See only part of the picture: 전체 상황 중 일부만 본다는 의미
- Have a one-track mind: 한 가지 생각에만 몰두해 다른 것을 고려하지 않는 태도
- Know the tip of the iceberg: 빙산의 일각만 안다는 뜻으로, 전체 중 극히 일부만 이해하는 경우
비슷한 한국 속담
- 우물 안 개구리: 좁은 세상만 알고 넓은 세상을 모르는 사람을 비유
- 아는 것이 병: 잘못된 지식이나 단편적인 지식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의미
-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신중함을 강조하지만, 맥락에 따라 부분만 보고 판단하지 말라는 의미로도 연결 가능
관련 사자성어
- 견문발검(見蚊拔劍): 작은 일에 과도하게 반응하는 것을 비유
- 단견(短見): 시야가 좁고 생각이 짧음
- 피상적(皮相的): 사물의 겉만 보고 속을 알지 못함
- 지엽말단(枝葉末端): 사소한 부분에만 집착하고 중요한 본질을 놓침
[속담말ㅆ·미]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
“한 무사가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 보검을 물에 빠트렸다. 무사는 급히 단검을 꺼내 뱃전에 보검을 빠트린 자리를 표시했다. 나중에 와서 건지려 하니 사람들이 비웃었다. 세월이 많이 흘렀음
www.khan.co.kr
일상 속 활용 예시
- 직장 회의에서
“그 보고서는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는 느낌이야. 전체 시장 상황까지 분석해야 해.” - 학업 지도에서
“시험 문제를 풀 때 공식만 외우고 원리를 모르면,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셈이지.” - 대인 관계에서
“그 사람 얘기만 듣고 판단하는 건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거야. 다른 사람 의견도 들어봐야 해.”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는 단순한 속담이지만, 그 안에는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에 대한 깊은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
부분적인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전체적인 맥락과 배경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 속담을 마음에 새기면, 보다 균형 잡힌 시각과 넓은 안목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