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준예밀물 다사식녕 俊乂密勿 多士寔寧

by 7거시리 2025. 1. 10.
반응형

'준예밀물 다사식녕'은 고대 중국의 고전인 '천자문(千字文)'에 등장하는 구절로, 국가의 번영과 안정을 위해 뛰어난 인재들이 조정에 모여 힘을 합쳤음을 의미합니다.

 

한자 풀이:

  • 준(俊): 뛰어난 인물이나 재능을 가진 사람을 뜻합니다.
  • 예(乂): '다스리다' 또는 '베다'를 의미하며, 여기서는 국가를 다스리는 능력을 가진 인재를 나타냅니다.
  • 밀(密): '빽빽하다' 또는 '빈틈없다'를 뜻하며, 인재들이 조정에 모여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표현합니다.
  • 물(勿): '말다' 또는 '없다'를 의미하며,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부지런함을 강조합니다.
  • 다(多): '많다'를 뜻합니다.
  • 사(士): '선비'나 '관리'를 의미합니다.
  • 식(寔): '진실로' 또는 '참으로'를 뜻합니다.
  • 녕(寧): '편안하다'를 의미합니다.

 

千字文 071 준예밀물 다사식녕(俊乂密勿 多士寔寧) :: 책 씹어먹는 즐거움

 

千字文 071 준예밀물 다사식녕(俊乂密勿 多士寔寧)

千字文 071 俊乂密勿 多士寔寧 주의 : 아래에 포스팅된 천자문은 한학 초보가 공부하기 위하여 여러 책들을 보고 자의적으로 정리한 내용에 불과하므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천자문 전체 자

deliciouslearning.tistory.com

 

전체 해석:

'준걸이 다스림에 빈틈없고 부지런하여 많은 선비들이 이로 인해 편안해졌다'는 뜻으로, 국가의 번영과 안정을 위해 뛰어난 인재들이 조정에 모여 힘을 합쳤음을 나타냅니다.

 

유래와 의미:

이 구절은 고대 중국의 역사에서 국가를 부강하게 만든 인재들의 협력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상나라의 이윤(伊尹), 부열(傅說), 주나라의 태공망(太公望), 주공(周公) 등은 각기 뛰어난 능력으로 국가를 이끌어갔습니다.

 

실생활에서의 활용:

현대 사회에서도 '준예밀물 다사식녕'은 조직이나 국가가 번영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인재들이 협력하여 힘을 합쳐야 한다는 교훈을 전달합니다. 이는 리더십과 팀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