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선경보방식, 전층경보방식(일제경보방식) 차이

by 7거시리 2025. 1. 20.
반응형

화재 발생 시 건물 내 경보 시스템은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피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경보 시스템은 주로 '전층경보방식(일제경보방식)'과 '우선경보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이 글에서는 두 방식의 차이점과 적용 기준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전층경보방식(일제경보방식)

전층경보방식은 화재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건물 전체에 경보를 발령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화재 발생 시 모든 층에 동시에 경보를 울려 모든 주민이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불필요한 대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실제 화재가 발생한 층과 무관한 층까지 대피하게 되어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소방청 비상방송설비 등 경보설비 경보방식

 

보도자료< 보도자료< 알림/소식< 소방청

<p><span style="font-size: 20.0pt;font-weight: bold;">비상방송설비 등 경보설비 경보방식</span><span style="letter-spacing: 0.0pt;font-size: 20.0pt;font-weight: bold;">’ </span><span style="font-size: 20.0pt;font-weight: bold;">개선</spa

www.nfa.go.kr

 

2. 우선경보방식

우선경보방식은 화재 발생 층과 그 직상 4개 층에만 경보를 발령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화재 발생 층과 그 직상 4개 층에만 경보를 발령하여 해당 층의 주민들이 우선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대피를 줄이고, 실제 화재가 발생한 층과 그 인접 층의 주민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습니다.

 

3. 적용 기준

2023년 개정된 소방시설 설치 기준에 따르면, 우선경보방식은 다음과 같은 건축물에 적용됩니다:

  • 일반 건축물: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축물
  • 공동주택: 층수가 16층 이상인 건축물

이러한 기준은 건축물의 규모와 구조에 따라 경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정되었습니다.

 

4. 경보선 배선 차이

우선경보방식과 전층경보방식은 경보선 배선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 전층경보방식: 각 층마다 경종선이 1가닥씩 추가됩니다.
  • 우선경보방식: 각 층마다 경종선이 1가닥씩 추가되며, 지하층은 별도로 1가닥이 추가됩니다.

이러한 배선 구조의 차이는 경보 시스템의 설계와 설치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5. 우선경보방식의 경보 발령 기준

우선경보방식에서 경보를 발령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2층 이상의 층에서 화재 발생 시: 발화층과 그 직상 4개 층에 경보를 발령합니다.
  • 1층에서 화재 발생 시: 발화층, 그 직상 4개 층, 지하층에 경보를 발령합니다.
  • 지하층에서 화재 발생 시: 발화층, 그 직상층, 기타 지하층에 경보를 발령합니다.

이러한 기준은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피를 위해 설정되었습니다.

 

6. 우선경보방식의 장점

우선경보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 효율적인 대피: 화재 발생 층과 그 인접 층의 주민들이 우선적으로 대피할 수 있어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자원 절약: 불필요한 대피를 줄여 소방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신속한 대응: 실제 화재가 발생한 층과 그 인접 층의 주민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우선경보방식과 전층경보방식은 각기 다른 특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3년 개정된 소방시설 설치 기준에 따라, 건축물의 규모와 구조에 따라 적절한 경보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경보방식은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피를 위해 설계된 시스템으로,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