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에서 시간 계산과 표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면 TIME
함수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합니다. 이 함수는 주어진 시(hour), 분(minute), 초(second)를 기반으로 시간 값을 생성합니다. 아래에서 TIME
함수의 사용법과 다양한 활용 예제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TIME 함수의 기본 사용법
TIME
함수의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TIME(hour, minute, second)
- hour: 생성할 시간의 시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0에서 32767까지의 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24를 초과하는 값은 24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계산됩니다.
- minute: 생성할 시간의 분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0에서 32767까지의 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60을 초과하는 값은 60으로 나눈 몫만큼 시에 더해지고, 나머지는 분으로 처리됩니다.
- second: 생성할 시간의 초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0에서 32767까지의 값을 입력할 수 있으며, 60을 초과하는 값은 60으로 나눈 몫만큼 분에 더해지고, 나머지는 초로 처리됩니다.
엑셀 Time 함수 사용법 - 오빠두엑셀
엑셀 Time 함수는 시간, 분, 초를 엑셀의 시간 형식 데이터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엑셀에서 하루(24시간)는 1에 해당하므로, 시간 값은 1/24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12시간은 0.5, 6시간은 0.25로
www.oppadu.com
2. TIME 함수 예제
예시 1: 특정 시간 생성하기
셀 A1에 =TIME(14, 30, 0)
을 입력하면, 오후 2시 30분 0초를 나타내는 시간 값이 생성됩니다.
예시 2: 25시간 75분 120초를 시간으로 변환하기
셀 A2에 =TIME(25, 75, 120)
을 입력하면, 엑셀은 이를 26시간 16분 0초로 변환하여 시간 값을 생성합니다.
3. 시간 계산하기
TIME
함수를 사용하여 시간 간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시:
셀 A1에 시작 시간 =TIME(9, 0, 0)
을 입력하고, 셀 B1에 종료 시간 =TIME(17, 30, 0)
을 입력한 후, 셀 C1에 =B1 - A1
을 입력하면, 근무 시간인 8시간 30분이 계산됩니다.
4. 시간 더하기 및 빼기
TIME
함수와 산술 연산자를 사용하여 시간에 일정 시간을 더하거나 뺄 수 있습니다.
예시:
셀 A1에 =TIME(8, 0, 0)
을 입력하고, 셀 B1에 =TIME(1, 30, 0)
을 입력한 후, 셀 C1에 =A1 + B1
을 입력하면, 결과는 9시간 30분이 됩니다.
5. 시간 서식 지정하기
시간 계산 결과를 원하는 형식으로 표시하려면 셀 서식을 조정해야 합니다.
단계:
- 결과가 있는 셀을 선택합니다.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셀 서식'을 선택합니다.
- '표시 형식' 탭에서 '사용자 지정'을 선택합니다.
- 형식 코드에
[h]:mm:ss
를 입력하여 24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도 표시되도록 설정합니다.
6. HOUR, MINUTE, SECOND 함수 사용하기
TIME
함수로 생성된 시간에서 시, 분, 초를 추출하려면 HOUR
, MINUTE
, SECOND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셀 A1에 =TIME(14, 30, 45)
를 입력한 후, 셀 B1에 =HOUR(A1)
, 셀 C1에 =MINUTE(A1)
, 셀 D1에 =SECOND(A1)
을 입력하면, 각각 14, 30, 45가 반환됩니다.
참고 사항:
- 엑셀에서 하루는 1로 간주되며, 1시간은 1/24, 1분은 1/1440, 1초는 1/86400로 계산됩니다.
TIME
함수는 0에서 0.99988426 사이의 값을 반환하며, 이는 0:00:00에서 23:59:59까지의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활용하여 엑셀에서 시간 계산과 표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