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암은 혀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구강암의 한 종류입니다. 전체 두경부암 중 약 10~15%를 차지하며, 혀의 해부학적 특성상 조직 침투와 림프절 전이가 빠르게 진행되는 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기 발견이 치료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에, 초기 증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인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설암의 초기 증상과 일반적인 구내염과의 차이, 주의해야 할 징후들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설암이란?
설암은 혀의 표면이나 내부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대부분 편평세포암입니다. 혀의 옆면이나 바닥 부위에서 자주 발생하며, 흡연, 음주, 구강 위생 불량, 만성 자극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특히 틀니나 치아에 의한 반복적인 자극도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
혀에 생긴 궤양 3주 이상 지속하거나 커지면 설암 의심해야 < 이럴 땐 이 병원 < 시리즈 콘텐트 < 기사본문 - 헬스중앙
혀에 생긴 궤양 3주 이상 지속하거나 커지면 설암 의심해야 - 헬스중앙
◆환자·보호자는 질병 앞에서 늘 선택의 기로에 놓입니다. 적절한 진료과와 병원, 치료법을 결정해야 할 때 그저 막막하기만 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의료진이 있고
jhealthmedia.joins.com
설암 초기 증상
설암은 초기에는 일반적인 구내염이나 혓바늘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쉽게 간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이 2~3주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지속적인 혀의 궤양
혀에 생긴 궤양이 2주 이상 낫지 않고 점점 커지거나 깊어지는 경우, 단순 염증이 아닌 설암의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 혀의 붉거나 흰 반점
혀 표면에 생긴 붉은색 또는 흰색 반점이 사라지지 않고 점점 두꺼워지거나 범위가 넓어지는 경우, 전암성 병변일 수 있습니다. - 혀의 덩어리 또는 종괴
혀에 물렁하거나 단단한 덩어리가 만져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가 커지는 경우 설암의 초기 징후일 수 있습니다. - 혀의 통증 또는 감각 이상
혀가 얼얼하거나 따끔거리는 통증이 지속되며, 감각이 둔해지는 느낌이 있다면 신경 침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목 부위의 혹(경부 종괴)
혀에서 시작된 암이 림프절로 전이되면 목에 혹이 만져질 수 있습니다. 3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반드시 검진이 필요합니다. - 치아 흔들림 및 입냄새
치주질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치아가 흔들리거나 구취가 심해지는 경우, 혀 주변 조직의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구내염과의 감별 포인트
설암은 구내염과 혼동되기 쉬우나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구분 | 구내염 | 설암 |
---|---|---|
지속 기간 | 1~2주 내 자연 치유 | 2주 이상 지속, 점점 악화 |
통증 | 강한 통증 | 초기에는 통증이 약하거나 없음 |
경계 | 뚜렷한 경계 | 경계가 불분명하고 퍼짐 |
촉감 | 부드러움 | 단단하거나 덩어리 느낌 |
위치 | 입 안 전체 | 혀 옆면, 혓바닥 등 특정 부위 |
이러한 차이를 인지하고, 증상이 장기화되거나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암의 예후와 조기 발견의 중요성
설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 성공률이 높지만, 림프절 전이가 동반되면 생존율이 급격히 낮아집니다. 특히 1~2기에서 발견된 경우에는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로 완치 가능성이 높지만, 진행된 상태에서는 치료가 복잡해지고 후유증도 심해질 수 있습니다.
설암은 흔하지 않지만 치명적인 암으로, 초기 증상을 정확히 알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혀에 생긴 이상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악화된다면 단순 염증으로 넘기지 말고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조기 발견은 생존율을 높이고 치료 부담을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