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제 왕 계보

by 7거시리 2025. 2. 10.
반응형

백제는 고대 한국 삼국 시대의 세 왕국 중 하나로, 18년부터 660년까지 약 660년간 존재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백제의 왕들을 자세히 살펴보며 그들의 계보를 정리합니다.

 

1. 온조왕(溫祚王, 재위 18~29년)

백제의 시조로,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의 아들입니다. 온조왕은 한반도 남부로 이주하여 백제를 건국하였습니다.

 

백제(百濟)왕 계보-순서

 

백제(百濟)왕 계보-순서

백제왕의 순서를 기년순으로 정리했습니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백제왕의 순서를 파악하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백제는 기원전 18년 부여족 집단에 의해 지금의 서울을 중심으로 형성된 국가

ruins.tistory.com

 

2. 다루왕(多婁王, 재위 29~77년)

온조왕의 아들로, 백제의 두 번째 왕입니다. 그 동안 백제는 안정과 성장을 이루었고, 다루왕의 통치 아래 국가 기반이 더욱 견고해졌습니다.

 

3. 가루왕(加婁王, 재위 77~128년)

다루왕의 아들로, 백제의 세 번째 왕입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백제는 더욱 발전하고, 국가의 규모가 확장되었습니다.

 

4. 구이신왕(仇伊信王, 재위 128~166년)

가루왕의 아들로, 백제의 네 번째 왕입니다. 구이신왕은 백제의 정치적 안정을 이루고, 외교적으로도 활발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5. 사반왕(沙伴王, 재위 166~184년)

구이신왕의 아들로, 백제의 다섯 번째 왕입니다. 사반왕은 국가의 내정을 잘 다스렸으며, 백제는 외교적으로도 활발한 활동을 보였습니다.

 

6. 분서왕(扶余王, 재위 184~214년)

사반왕의 아들로, 백제의 여섯 번째 왕입니다. 분서왕은 백제의 문화와 정치적인 발전을 이끌었고, 국내 안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7. 계왕(桂王, 재위 214~227년)

분서왕의 아들로, 백제의 일곱 번째 왕입니다. 계왕의 통치 아래 백제는 문화와 정치에서 중요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8. 침류왕(枕流王, 재위 227~247년)

계왕의 아들로, 백제의 여덟 번째 왕입니다. 침류왕은 불교를 받아들여 백제의 문화와 종교적 성장을 도왔습니다.

 

9. 진사왕(眞師王, 재위 247~260년)

침류왕의 아들로, 백제의 아홉 번째 왕입니다. 진사왕은 백제의 내정과 외교를 잘 다스렸으며, 국가의 안정을 유지했습니다.

 

10. 아신왕(阿莘王, 재위 260~284년)

진사왕의 아들로, 백제의 열 번째 왕입니다. 아신왕은 외교적으로 활발히 활동하며 백제의 영향력을 확대했습니다.

 

11. 비유왕(比流王, 재위 284~298년)

아신왕의 아들로, 백제의 열한 번째 왕입니다. 비유왕은 백제의 정치와 문화에서 중요한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12. 문주왕(文周王, 재위 298~300년)

비유왕의 아들로, 백제의 열두 번째 왕입니다. 문주왕은 백제의 내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국가의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13. 삼근왕(三斤王, 재위 300~344년)

문주왕의 아들로, 백제의 열세 번째 왕입니다. 삼근왕은 백제의 정치적 발전과 함께, 내적인 안정도 도모했습니다.

 

14. 동성왕(東城王, 재위 344~375년)

삼근왕의 아들로, 백제의 열네 번째 왕입니다. 동성왕은 국가의 내정과 외교를 잘 다스렸으며, 백제의 문화적 발전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15. 위덕왕(威德王, 재위 375~405년)

동성왕의 아들로, 백제의 열다섯 번째 왕입니다. 위덕왕은 백제의 문화적, 정치적 발전을 이끌었으며, 강력한 군사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16. 혜왕(惠王, 재위 405~420년)

위덕왕의 아들로, 백제의 열여섯 번째 왕입니다. 혜왕은 백제의 내정과 외교에서 중요한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17. 법왕(法王, 재위 420~427년)

혜왕의 아들로, 백제의 열일곱 번째 왕입니다. 법왕은 불교와 관련된 정책을 펼치며 백제의 문화적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