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묵자흑(近墨者黑)'과 '근주자적(近朱者赤)'은 주변 환경이나 사람들과의 교제가 개인의 성품과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한자 구성 및 의미
- 근묵자흑(近墨者黑): '가까울 근(近)', '먹 묵(墨)', '사람 자(者)', '검을 흑(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먹을 가까이하면 검게 된다'는 뜻입니다. 이는 나쁜 환경이나 사람들과 가까이 지내면 그 영향을 받아 자신도 부정적인 성향을 띠게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근주자적(近朱者赤): '가까울 근(近)', '붉을 주(朱)', '사람 자(者)', '붉을 적(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붉은 것을 가까이하면 붉어진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좋은 환경이나 사람들과 함께하면 긍정적인 영향을 받아 자신도 좋은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사자성어] 근주자적 근묵자흑 (近朱者赤近墨者黑) < 문화산업 < 문화·트렌드 < 기사본문 - 중국뉴스
[사자성어] 근주자적 근묵자흑 (近朱者赤近墨者黑) - 중국뉴스
주변 색깔에 자연히 물들게 마련이다는 의미이다.붉은 인주를 가까이하면 붉게 되고 먹을 가까이하게 되면 검게 물든다는 뜻이다. 서진(西晉)의 문신이자 학자인 부현(傅玄)이 편찬한 \'태자소
www.cmnews.kr
유래
이 두 사자성어는 중국 고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특히 '근묵자흑'은 서진(西晉)의 문신이자 학자인 부현(傅玄)이 편찬한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에 등장하는 구절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적 적용
이러한 사자성어는 현대 사회에서도 인간관계와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 근묵자흑: 부정적인 사람들과 어울리면 자신도 모르게 그들의 나쁜 습관이나 행동을 따라하게 될 수 있음을 경계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근주자적: 긍정적이고 선한 사람들과 함께하면 자신도 그들의 좋은 습관이나 덕목을 배우게 되어 올바른 길로 나아갈 수 있음을 강조하는 데 쓰입니다.
예문
- "그는 나쁜 친구들과 어울리며 점점 변했어. 진짜 근묵자흑이 따로 없지."
- "성공한 사람들과 함께 있으니 나도 목표를 향해 노력하게 되었어. 근주자적이란 말이 맞는 것 같아."
이처럼 '근묵자흑'과 '근주자적'은 우리의 삶에서 주변 환경과 인간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주는 교훈적인 표현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