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근로계약서 미작성시 처벌 기준

by 7거시리 2025. 3. 25.
반응형

근로계약서는 근로자와 사업주 간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한 필수 문서입니다. 이를 작성하지 않을 경우, 법적 처벌과 과태료 부과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처벌 기준과 사업주의 법적 책임, 그리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처벌 기준

  1. 법적 의무 위반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르면, 사업주는 근로계약 체결 시 반드시 서면으로 계약서를 작성하고 근로자에게 교부해야 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사업주는 행정 처분 및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과태료 부과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거나 근로자에게 교부하지 않은 경우, 사업주는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
    • 근로계약서 미작성: 1인당 최대 500만 원
    • 근로조건 누락: 필수 기재 항목이 누락된 경우 1인당 최대 200만 원
    • 근로계약서 미교부: 1인당 최대 300만 원
  3. 형사 처벌 가능성
    반복적인 위반이나 시정 명령 불이행 시, 사업주는 형사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법률 정보] 근로계약서 미작성 신고 및 처벌 사업자 측 유의사항 - 잡포스트(JOBPOST)

 

[법률 정보] 근로계약서 미작성 신고 및 처벌 사업자 측 유의사항 - 잡포스트(JOBPOST)

[잡포스트] 김명기 기자 = 소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A씨는 얼마 전 퇴사한 B씨와의 분쟁으로 난감한 상황에 놓여있다. B씨가 퇴사 후 A씨를 \'근로계약서 미작성\'과 관련해 신고했기 때문이다. A씨

www.job-post.co.kr

 

근로계약서 작성 시 필수 포함 사항

근로계약서는 단순한 문서가 아니라 법적으로 효력을 가지기 위해 반드시 포함해야 할 항목들이 있습니다.

  • 근로계약 기간: 정규직, 계약직, 단기 근로 여부 명시
  • 임금 및 지급일: 기본급, 상여금, 수당, 지급일 기재
  • 근무 시간 및 휴게 시간: 일일 및 주간 근로시간, 휴게시간 명시
  • 휴일 및 연차: 주휴일 및 연차 사용 기준 명시
  • 퇴직금 및 해고 규정: 퇴직금 지급 기준과 해고 사유 기재

 

근로계약서 미작성 예방을 위한 사업주의 대응 방안

  1.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
    모든 근로자와 근로계약 체결 시, 서면으로 계약서를 작성하고 2부를 만들어 각각 보관합니다.
  2. 전자 근로계약서 도입
    전자문서를 활용하면 관리가 용이하며, 법적 효력도 인정됩니다.
  3. 정기 점검 및 교육
    노무사 자문을 통해 근로계약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관련 법규를 숙지합니다.

 

근로계약서는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를 보호하는 중요한 법적 문서입니다. 이를 작성하지 않을 경우,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와 형사 처벌 등 심각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계약서를 철저히 작성하고 관리하여 법적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