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무원연금 수령자 기초연금 수급 자격 여부

by 7거시리 2025. 1. 14.
반응형

공무원연금을 수령하는 분들은 일반적으로 기초연금 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기초연금법 제3조 제1호에 따라,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수급자 및 그 배우자는 기초연금 수급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슈 In] 빈곤한 퇴직공무원 기초연금 받을 길 열리나 | 연합뉴스

 

[이슈 In] 빈곤한 퇴직공무원 기초연금 받을 길 열리나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지금 이렇게 사는 게 힘든데도 기초연금을 안 준다는 게 도저히 이해가 안 됩니다."

www.yna.co.kr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합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분들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직역연금 재직 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 공무원, 사립학교교직원, 군인, 별정우체국직원 등 직역연금 재직 기간이 10년 미만인 분들이 국민연금과 연계한 연계퇴직연금 또는 연계퇴직유족연금을 수령하는 경우,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장해보상금, 유족연금일시금, 유족일시금 수령 후 5년 경과한 경우: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수급자 중 장해보상금, 유족연금일시금, 유족일시금(유족연금 대신 받은 경우)을 받은 후 5년이 경과한 분들과 그 배우자는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2014년 6월 30일 당시 기초노령연금을 수령한 경우: 2014년 6월 30일 당시 기초노령연금을 받고 계셨던 분들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기초연금법 시행 당시 장애인연금 특례수급자였던 경우: 기초연금법 시행 당시 장애인연금 특례수급자였던 분이 만 65세에 도달하여 기초연금 특례대상자로 전환된 경우,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외 사항에도 불구하고, 공무원연금 수급자 중 상당수는 기초연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는 공무원연금 수급액이 낮아도 기초연금 수급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무원연금을 수령 중인 분들은 기초연금 수급 자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